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청소년의 학교폭력 경험유형과 유형변화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changes in experience, and emotional factors

한국청소년연구
약어 : -
2014 vol.25, no.4, pp.301 - 323
DOI : 10.14816/sky.2014.25.4.301
발행기관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사회과학
Copyright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51 회 열람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경험유형(가해, 피해, 가․피해, 일반)과 유형변화(가해와 피해의 참여, 유지, 중단) 및 정서문제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에서 중1패널 2차 연도(중2)와 3차 연도(중3) 조사에 참여한 총 2,2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전체 학생을 학교폭력 가해집단, 피해집단, 가․피해집단 및 일반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별 정서문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가해와 피해에 따른 2차 연도와 3차 연도의 유형변화에 대해 집단을 구분하여 무경험집단, 참여집단, 중단집단, 유지집단으로 분류하여 각 집단별 정서문제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유형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변인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정서문제는 공격성, 위축감, 우울, 신체증상 및 주의집중이다. 분석 결과 학교폭력 경험유형 및 유형변화에 따른 집단별로 모든 정서문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경험유형의 경우 피해와 가․피해 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정서적 취약성을 보였으며, 유형변화의 경우 공격성은 비가해집단에 비해 가해중지집단과 가해유지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경우 비피해 집단에 비해 피해유지집단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단기적이고 횡단적인 관점에서 학교폭력을 분석하던 방식과 달리 학교폭력의 유형에 대해 종단적인 시각을 통해 학교폭력의 지속성이 미치는 심각성과 유형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적 변인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개입에 적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changes in experience, and emotional factors by investigating data from the Korea Children Youth Panel Study. The second and third wave, including 2,259 middle students, was used fo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groups in terms of their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bullies, victims, bully-victims, and others. In addition, the subjects were also categorized into four sub-groups in terms of changes which occurred in their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variables among the groups such as aggression, shrinking, depression, attention, and physical symptoms were also exami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our groups based on the type of experience and changes in the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ll emotional variables. In addition,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were identified as being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ontinuing group of school violence experience.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 method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also discussed.

학교폭력 경험유형, 유형변화, 공격성, 위축감, 우울, 주의집중, 신체증상
school violence, aggression, withdrawal, depression, attention, body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