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해수면 변화를 지시하는 프록시 중 퇴적물의 기원지 변화에 대한 기록이 중요하게 이용되고 있다. 동중국해북단에 위치한 제주남서니질대는 퇴적물의 기원지 변화를 이용한 해수면 변화 연구가 선행되어 왔지만 의견 일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입도 자료와 연대측정 자료가 알려진 3개의 코어에 대하여 희토류원소와 점토광물조성을 이용하여 최후 빙기 이후 해수면 상승에 따른 기원지 변화를 추적하였다. 유닛 3는 현재 보다 해수면이 최대 120 m 낮은 최후 빙기에 해당한다. 유닛 3 퇴적물들은 높은 실트 함량과 높은 S/I (스멕타이트/일라이트) 비로 특징되며, 퇴적물의 대부분이 고 황하를 통해 직접 유입되었다. 그러나, 비교적 높은 총 희토류 함량을 가지는 일부 유닛 3 퇴적물들은 한국의 강들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해침기에 해당하는 유닛 2는 현재보다 강한 조석 작용으로 인한 응력에 의해 높은 모래 함량을 나타내며, 이 시기 동안 퇴적물의 기원지는 황하에서 장강으로 변하였다. 유닛 1은 현재와 유사한 해수면과 해양 순환이 형성된 고수위기에 해당한다. 유닛 1 퇴적물들은 모래의 함량이 적고 점토 함량이 많은 전형적인 니질퇴적체의 특징을 가지며, 퇴적물들은 장강 기원으로 구분되었다. 장강 퇴적물들은 장강희석수 또는 황해난류에 의하여 연구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제주남서니질대의 세립질 퇴적물 기원지는 해수면 변화에 따라 황하 기원, 황하와 장강의 복합 기원, 장강 기원의 순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나타낸다.

The records of changes in sediment provenance have been importantly used for sea level variation. The South West Cheju Island Mud (SWCIM), located at the northern end of the East China Sea,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many researches because it probably records the provenance change according to sea level change. However, the sediment provenance and changes in the provenance due to sea level rise remain unclear. In this study, we traced the provenance change due to sea level rise after the last glacial period using rare earth elements and clay mineral composition for three cores for which data of grain size and dating are known. Unit 3, which is the last glacial period, was characterized by a high silt content and S/I (Smectite/Illite) ratio, and most of the sediments were sourced directly from the paleo Huanghe. However, some of Unit 3 sediments with relatively high total rare earth content are believed to originated from the Korean rivers. Unit 2, which corresponds to the transgressive period, exhibited an abundance of sand due to the tidal stress stronger than the present, and during this period the sediment provenance changed from the Huanghe to the Changjiang. Unit 1 corresponds to highstand period when sea level and oceanic circulation similar to the present is established. Unit 1 sediments have a characteristic of typical mud patch with low sand and high clay contents, and the sediment provenance was identified as Changjiang. The Changjiang sediments are believed to be supplied to the study area through the Changjiang Diluted Water or Yellow Sea Warm Current. Therefore, the fine sediment provenance in the SWCIM changes in the order of the Huanghe origin, the multi-origin of the Huanghe and Chang jiang, and the Changjiang origin according to sea level change.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4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