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5%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2016년 9월 12일 남한에서의 계기지진 관측 이래 최대규모인 ML=5.8의 지진(KMA)이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지역에서 발생하였고, 약 600회에 가까운 소규모 여진이 6개월 이상 지속되었다. 이를 계기로 한반도가 더 이상 지진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확인되면서 지진재해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증폭됨은 물론 지진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매우 높아졌다. 지진은 단층의 갑작스러운 미끌림 운동의 결과로, 지진의 발생기작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진앙지 인근에 발달하는 단층의 분포, 주향/경사, 종류, 운동감각을 비롯해 주변단층과의 운동학적 상호관계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는 9.12 경주지진의 발생기작을 추론하고자 여진이 집중적으로 발생한 진앙지를 중심으로 단층의 발달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히, 최근 활성지체구조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 항공 LiDAR 영상을 이용해 지형 및 선형구조를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야외조사를 통해 단층을 추적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9.12 경주지진은 양산단층의 서측 단층손상대 내에 발달하는 부수단층이 활동한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양산단층 중부분절과 남부분절(또는 양산단층의 한 가지단층인 ‘덕천단층’)의 상호작용에 의한 연결부손상대에서의 응력해소에 기인한 것으로 추론된다.

On 12th September, 2016, the ML=5.8 Gyeongju Earthquake (KMA), the biggest instrumental earthquake in South Korea, occurred in Naenam-myeon, Gyeongju, and about 600 aftershock events continued for at least 6 months around the epicenter area. This event is enough for the publics to be afraid of earthquakes, and furthermore to believe that the Korean Peninsula is tectonically unstable and destructive shocks may occur in the future. Also a new social concern about earthquake mechanism and active fault is increased throughout the country. In general, earthquake is a result of abrupt slip (or rupture) of pre-existing fault, and hence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geometry, strike/dip, type, slip sense, and intersections between faults around the epicenter in order to understand earthquake rupture mechanism. Here, we have investigated faults around the epicenter, where aftershocks clustered, to infer the rupture mechanism of the 9.12 Gyeongju Earthquake. In particular, using airborne LiDAR images, we have analyzed geomorphic features and lineaments to find potential active faults. As a result, we infer that the 9.12 Gyeongju Earthquake occurred on a subsidiary fault in the western damage zone of the Yangsan Fault and that this attributes to linking damage zones either at the linking zone between central and southern segments of the Yangsan Fault, or between the Yangsan Fault and the newly named Deokcheon Fault (a subsidiary fault of the Yangsan Fault).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지역 및 주요 지질구조
3. LiDAR 영상기법을 이용한 선형구조 분석
4. 야외지질조사를 통한 단층분석
5. 여진분포 특성
6. 토의 : 9.12 경주지진의 발생기작
7.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4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450-000994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