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Enhancing Intimacy i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유아-교사 친밀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의 효과

  • 김태은 (한양사이버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5.08.15
  • Accepted : 2015.12.1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 group theraplay program for enhancing intimacy i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and infant's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And it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a theraplay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16 infants between the ages of 2-3. Each group of 8 infants was attached to the experimental 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had 45 minute group theraplay sessions two times per week for a total of 10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have any treatment.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Scale(Pianta, 2001) and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Jewsuwan, Luster & Kostelnik, 1993) were used for pre-test and follow-up tests.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analyzed data via SPSS ver. 20.0. The results were that: (1) In the pre-test, the degree of intimacy in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However, in follow-up test, the degree of intimacy in the infant-teacher relationship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enhanced. (2) In the pre-test,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had no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ut in the follow-up test,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hanged optimistically.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group theraplay program is an effective means to facilitate intimacy in infant-teacher relationships and adaptation to child care centers.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 친밀관계 및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만 2-3세 유아 1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배정되었다. 실험집단에는 매 회 45분, 주 2회씩, 총 10회기의 집단치료놀이를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어떤 처치도 제공하지 않았다. 유아-교사 친밀관계(Pianta, 2001) 및 어린이집 적응(Jewsuwan, Luster & Kostelnik, 1993) 척도를 사용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맨 휘트니 유 검정과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을 실시하여 자료 분석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의 유아-교사 친밀관계는 동질적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유아-교사 친밀관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의 어린이집 적응 수준은 동질적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어린이집 적응 수준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유아-교사 친밀관계와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은희 (2007). 집단치료놀이를 통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 연구. 아시아아동복지연구, 5(2), 67-84.
  2. 김경은 (2013). 교사의 집단치료놀이가 유치원 종일반 유아의 자아탄력성, 또래 유능감 및 교사-유아 관계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상림 (2012).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관한 연구: 개인변인, 또래유능성 및 교사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4), 207-230.
  4. 김유미 (2002). 두뇌 기반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방안 탐색. 교육학연구, 40(3), 247-270.
  5. 김윤경 (2004). 치료놀이를 적용한 영아보육 모형. 아동복지연구, 2(2), 17-37.
  6. 김윤경 (2005). 영아의 애착 증진을 위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윤경 (2012). 집단치료놀이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또래애착과 친구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5(1), 73-91.
  8. 김주희 (2007).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대한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문혁준, 김정민, 김태은, 양성은, 이진숙, 이희선 (2014). 아동상담. 서울: 창지사.
  10. 박선미 (2014). 로봇을 활용한 영아 어린이집 적응 프로그램 개발. 어린이미디어연구, 13(2), 79-111.
  11. 박영아, 엄서영 (2012).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0, 33-53.
  12. 보건복지부 (2015). 2014 보육통계. 보건복지부.
  13. 성영혜, 이창미, 김연진, 김유진, 신현정 (2004). 치료놀이를 통한 영아보육. 서울: 시그마프레스.
  14. 손춘금 (2000). 취학 전 유아교육 경험이 초등학교 1학년 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신수정, 성영혜 (2003).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증진 효과. 아동연구, 17(1), 28-59.
  16. 신현정 (2003). 보육시설 초기적응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오종은 (2001). 영아의 애착안정성과 어린이집 초기적응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유소율 (2014).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 프로그램 실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윤미원 (2000). 치료적 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성세 (2012). 영아적응 부모협력프로그램이 영아-교사 애착과 적응 및 부모 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시자 (2000). 아동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또래 선호와 우정관계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1(4), 1-15.
  22. 이영, 이정희, 김온기, 이미란, 조성연, 이정림 외 (2009). 영유아발달. 서울: 학지사.
  23. 이은경 (2006). 어린이집에서의 영아 초기 적응프로그램 실시 현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진숙 (2004). 유아의 어머니, 교사, 또래와의 관계와 보육시설 적응간의 관련성. 열린교육연구, 12(2), 217-235.
  25. 임재택, 김정신, 류경, 이숙희, 김영옥 (2003). 초기적응 이렇게 도와주세요. 경기: 양서원.
  26. 전은경, 성소영 (2012). 유아교육기관의 오리엔테이션과 초기적응 프로그램에 관한 운영실태 및 교사 인식. 어린이미디어연구, 11(1), 131-167.
  27. 정혜민 (2010).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유치원 적응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중앙육아종합지원센터(2007). 신입원아적응프로그램 예시. http://central.childcare.go.kr/ccef/community/data/DataImgSl.jsp?BBSGB=42&BID=1732&flag=Sl&programId=P0002PG00000536. 출력일 2015년 8월 6일.
  29. 지성애 (1997). 영아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서울: 정민사.
  30. 최수정 (2010). 보육시설 신입원아 적응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인식 연구: 가정보육시설을 중심으로.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하영례 (2009). 집단놀이치료를 활용한 유아 사회정서적 유능감 프로그램이 친사회성, 유아-교사 관계 및 또래유능감에 미치는 효과. 아동학회지, 30(5), 57-72.
  32. Birch, S. H., & Ladd, G. W. (1997).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1), 61-79. https://doi.org/10.1016/S0022-4405(96)00029-5
  33. Booth, P. B., & Jernberg, A. M. (2009). Theraplay: Helping parents and children build better relationships through attachment-based play. New York: Wiley.
  34. Brock, L. B., & Curby, T. W. (2014). Emotional support consistency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s forecast social competence and problem behaviors in pre-kindergarten and kindergarte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5(5), 661-680. https://doi.org/10.1080/10409289.2014.866020
  35.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in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vard University Press.
  36. Burvyte, S., & Ralys, K. (2011). Early life experience of first-formers as an emotional factor in getting adapted to school environment. Socialinis Ugdymas, 16(27), 100-115.
  37. Corey, G. (2012).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oston: Cengage Learning.
  38. Crick, N. R. (1996). The role of overt aggression relational aggress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 prediction of children's future soci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5), 2317-2327. https://doi.org/10.2307/1131625
  39. Entwisle, D. R., & K. L. Alexander. (1993). Entry into school: The beginning school transition and educational strat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Annual Review of Sociology, 19, 401-423. https://doi.org/10.1146/annurev.so.19.080193.002153
  40. Hestenes, L., Kontos, S., & Bryan, Y. (1993).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n child care centers varying in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3), 295-307.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69-9
  41. Honig, A. S., & Pollack, B. (1990). Effects of a brief intervention program to promoteprosocialbehaviorsinyoung childre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1(6), 438-444. https://doi.org/10.1207/s15566935eed0106_3
  42. Jernberg, A. M., & Booth, P. B. (1999). Theraplay: Helping parents and children build better relationships through attachment-based play(2nded). San Francisco: Jossey-Basss.
  43.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7-3
  44. Ladd, G. W., & Price, J. M. (1987). Predicting children's social and school adjustment following the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58(5), 1168-1189. https://doi.org/10.2307/1130613
  45. Piaget, J. (1975). Child's conception of the world. Totowa, NJ: Littlefield, Adams.
  46. Pianta, R. C. (2001).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Lute,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47. Sweeney, D. S. (1997). Counseling children through the world of play. Wheaton, IL: Tyndale House.
  48. Wettig, H. & Franke, U. (2004).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raplay in toddlers and preschool children with shy interaction behavior. Unpublished manuscript, The Theraplay Institute, Chicago, IL.
  49. Yalom, I. D. (1995).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NY: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