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는 특정 학습자에 대한 문화간 접촉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비판적 문화 인식을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어 경력 교사의 성찰적 상호문화 정체성 형성 과정과 양상을 살피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성태의 단편소설 「로동신문」을 매개로 도구 삼아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한국어 교사의 내러티브를 도출하여 비판적 문화 인식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한국어 교사의 성찰적 상호문화 정체성 형성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교사 재교육 방안에의 방향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한국어 경력 교사의 성찰적 상호문화 정체성 형성 과정은 ‘등장인물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비판적 분석, 텍스트 서사를 통한 과거 경험 회상, 자아에 대한 비판적 분석, 반성의 결과’ 단계를 통해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성찰적 과정에서는 복수성의 다면적인 정체성이 서로 충돌함으로써 내적 갈등을 겪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연구참여자들은 이러한 다면적 정체성 간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내적 갈등을 솔직하게 인정하면서 반성적 태도를 보였으며, 그로부터 객관적 외부 시선에서 새롭게 재인식된 자기 이해 과정에서 문제 해결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이는 타자를 통해 자기 이해로 나아가는 상호문화 정체성 형성의 과정이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biased cultural awareness among Korean language teachers toward North Korean defectors, using narratives that enable reflection on their teaching experiences. To fulfill the study"s objective, Jeon Sung-tae"s novel, "Rodong Shinmun," is employed as a tool. The study found that the formation of a reflective intercultural identity among the participating Korean teachers occurred in four stages. The participants demonstrated a reflective attitude when they acknowledged internal conflict and re-evaluated themselves from an external viewpoint. During this process, they sought solutions to the problem.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Ⅳ. 연구 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