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祭文을 통해 본 南冥 弟子의 入門과 受學 KCI 등재

The Aspects of Joining and Studying of Nammyong(南冥)’s Disciples Seen with Jemun(祭文)

제문을 통해 본 남명제자의 입문과 수학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405
  • DOIhttps://doi.org/10.14381/NMH.2018.57.03.30.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논문은 제문이 가지는 특성에 주목하여 南冥 曺植(1501-1572)의 제자들이 지은 11편의 제문을 분석한 것이다. 이 작업을 통해 남명의 제자들이 문하에 나아간 때는 언제이며, 당시에 그들이 저마다 받은 각별한 가르침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11편의 제문에 드러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오건은 1551년에 남명의 문하에 나아갔으며, 자신이 스승에게 받은 특별한 가르침을 ‘공부하는 방법’과 ‘때를 알아보는 의리’로 함축했다. 정인홍은 남명의 교육은 책을 잡고 읽는 강학이 아니라 제자들의 정신을 깨우쳐 스스로 터득하도록 하는 방법이었다고 술회했다. 김우옹은 남들보다 백배 천배 노력하라는 말씀, 출처에 관한 경계, 성성자를 전해 받은 일, ‘雷天’ 두 글자의 훈계 등을 남명에게 받았으며, ‘서리 내린 소나무와 눈 쌓인 측백나무’처럼 어떠한 어려움에도 자신을 간직하라는 장려를 입었다.
정구는 남명이 67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며칠 동안 밤낮을 이어가며 강학을 진행했는데도 지치는 기색이 없었다고 회고하며 스승이 제자들에게 얼마나 지극한 정성으로 가르쳤는지를 서술했다. 최영경은 그 어떤 가르침보다 남명이 가진 ‘깔끔한 맑은 기풍’에서 큰 배움을 얻었다. 하항은 남명의 교육 방법의 특징으로 일에서 비유를 취해 깨우치게 했다는 점을 특기했다. 이 기록을 통해 남명이 문장을 지을 적에만 비유적 표현을 많이 사용한 것이 아니라 제자들을 가르칠 때에도 적절하게 활용하여 깨닫도록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는 스승의 모습을 봄날에 눈이 녹는 듯이 감화시키는 분이었다고 회상했다. 이제신은 스승의 곁에서 오랫동안 지켜보았으므로, 그분의 언행이 일치한 것은 자신만이 안다고 확신했다. 류종지는 남명의 교육 방법을 ‘병통의 뿌리를 시원하게 도려내고 뒤이어 약을 처방하는 것’이라고 기억했다. 곽율은 남명이 제자들을 가르칠 적에 두 양단을 들어 남김없이 극진하게 말씀해주셔서 정성스러운 가르침에 감화를 입어 분발하게 되었다고 서술했다. 조원은 자신의 자질이 매우 부족했지만 정성스럽게 가르쳐주셨을 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선비[佳士]’로 장려해주신 일에 깊이 감격했으며, 가르침의 핵심을 ‘居敬窮理’라고 요약했다.
이러한 내용에 근거하여 두 가지로 그 의미를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제문의 작자들은 남명 문하에서 중요한 비중을 가지는 제자들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데, 남명이 산청의 산천재에 은거한 만년에 입문한 학자들이 다수를 차지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둘째, 남명은 절실한 비유에 의해 새롭게 각성시키는 것, 핵심 단어와 구체적인 형상을 통해 수양의 목표를 분명하게 제시하는 것, 자신이 살아온 삶에 근거해 학자가 추구해야 할 이상을 보여주는 것 등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11 pieces of jemun (祭文) written by Nammyong Jo Sik (1501-1572)’s disciples taking not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hrough the process, this author examines when each of Nammyong’s disciples came under his guidance and what particular teachings each of them received from him then.
Let’s look into the main contents revealed in those 11 pieces of jemun. Oh Ge-on came under Nammyong’s instruction in 1551. He simplified the special teachings he got from this master as ‘how to study’ and ‘loyalty to grasp the right time’. Jeong In-hong reminisced about Nammyong’s education not as ganghak, holding and reading a book, but as something allowing students to be awakened and learn themselves. About Nammyong, Kim Woo-ong recalled a lesson about making efforts much harder than others, wariness about the source, seongseongja (惺惺子) he received, and his preaching about two Chinese characters, ‘noecheon (雷天)’. He was encouraged not to lose himself ever even in any hardships just like ‘the frosted pine or thuja covered with now‘.
Jeong Gu recalled the time saying that even with his old age of 67, Nammyong continued to do ganghak day and night for several days but never seemed tired. He described how earnestly the master taught his disciples. Choi Yeong-gyeong said he learned more from Nammyong’s ‘well-arranged and pure spirit’ than anything else. Ha Hang particularly remembered as one of Nammyong’s teaching methods analogizing things with something at work to enlighten his disciples. With this written record, we can see that Nammyong often used figurative expressions not only when he wrote but when he taught his students, too, to let them realize something properly.
Lee Ro remembered his master as a kind of person that moved people like snow that melts on a spring day. Lee Je-sin confidently said that he was the only person that knew his master was a man of his word as he watched him just beside him for a long time. Ryu Jong-ji recalled Nammyong’s education al method as ‘something to cut out the root of a pain from disease completely and then prescribe medicine after that’. Gwak Yul said Nammyong always explained things with sincerity using the two extreme sides when he taught his disciples, and such devoted teachings of his touched and motivated him to study. Jo Won said he taught him earnestly even though he was such an incompetent student. He added that he was deeply moved by his encouragement referring to him as a ‘beautiful seonbi [佳士]’ and regarded the key of his teachings as ‘geogyeong- gungri (居敬窮理)’.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入門의 
회상과 가르침의 내용
 Ⅲ. 맺음말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全丙哲(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교수) | 전병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