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0 No.1.jpg
KCI등재 학술저널

Delphi/AHP를 활용한 화력발전플랜트 고위험시설 선정 연구

화력발전플랜트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하여 여러 종류의 건축물과 기기들로 구성되는 복합형태의 대규모플랜트라 할 수 있으며 석탄취급설비(Coal handing system), 유류저장설비(Oil storage facilities), 보일러설비, 터빈/제네레이터설비, 변전설비, 수처리설비 및 이를 운영하기 위한 부대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특수한 소방대상물에 대해서는 화재하중 및 화재위험성을 고려한 높은 안전성이 요구된다. 각 공간에적용되는 소방설비 선정은 일차적으로 관련 법규에 따르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발전플랜트 운영기관이설치 및 유지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발전플랜트 운영기관은 주요 위험공간별 특성에 따라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소방설비를 유지관리하고 있어 실제적인 화재안전성 확보에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플랜트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하여 Delphi 및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이용하여, 위험공간의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고, 우선순위에 따른 주요 위험공간을 화재/폭발 위험시설과 누출/폭발 위험시설로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Thermal power plants are large-scale plants made up of various types of buildings and equipment to produce electricity and consist of coal handling systems, oil storage facilities, boiler facilities, turbine/generator facilities, substation facilities, water treatment facilities, and auxiliary facilities for operating them. For these special fire-fighting objects, high safety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fire load and fire risk. In principle, the selection of fire fighting facilities applied to each space is primarily in accordance with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nd is installed and maintained by the power plant operating institution. However, most power plant operating institutions do not secure safe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ajor dangerous space and maintain fire fighting facilities under the same conditions, which is insufficient to secure actual fire safety. In this study, Delphi and AHP were used to assign weight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dangerous spaces, and major dangerous spaces according to priorities were divided into fire/explosion risk facilities and leak/explosion risk facilities.

Ⅰ. 서론

Ⅱ. 본론

Ⅲ. AHP 평가결과 분석

Ⅳ.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