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9 No.5.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 소방공무원의 감정노동 경험과 대처에 대한 질적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 and Response of Female Fire Officials

본 연구는 사고의 수습, 구조 등 대민서비스를 수행 중 감정노동 경험이 있는 여성 소방공무원 7명을대상으로 업무 중 감정노동과 폭력으로 인한 어려움, 심경과 대처, 제도적 개선 욕구에 대해 심층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 현상학적 연구이다. 연구 결과는 ‘무조건 친절하기를 요구받는 감정 쓰레기통’, ‘ 갑자기날아오는 시민들의 폭력과 폭언’, ‘여성 소방공무원은 나약하고 만만한 존재’, ‘조직 내부에서도 여성소방공무원이 느끼는 차별적 시선’, ‘직업에 대한 회의와 좌절’, ‘반복되는 불안과 두려움’, ‘감정노동을떨치기 위한 나의 방법’, ‘조직 내에 마련된 감정노동 대처 제도’, ‘느리지만 아주 조금씩 변화 중인조직 내 분위기’, ‘더 나은 환경을 위한 발걸음의 시작’의 2개의 범주, 4개의 주제 모음, 10개의 주제를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 소방공무원의 안전한 근로환경이 마련될 수 있도록 다양한임상적·정책적·실용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in which seven female firefighters, who experienced emotional labor while performing public services like accident investigation and rescue,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difficulties, psychology and coping, and desires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due to emotional labor and violence during work. This study derived two categories, four theme clusters, and the following ten themes: “An emotional trash can that is required to be unconditionally kind,” “Violence and profanity from citizens flying out of nowhere,” “Female firefighters are seen as weak and unworthy,” “Female firefighters face discrimination even within the organization,” “Doubt and frustration about my job,” “Repeated anxiety and fear,” “My way of shaking off emotional labor” “Emotional labor coping system established within the organization,” “Slowly but surely changing atmospher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he beginning of a step toward a better environment.” This study’s findings provide several clinical,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creating safe working environments for women firefighters.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Ⅶ. 결론 및 제언

Ⅷ. 연구의 함의 및 한계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