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873433.jpg
KCI등재 학술저널

강원도 삼척주민들의 재난경험실태조사

직·간접 외상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삼척시 지역 주민들의 자연 재난경험과 이로 인한 직·간접 외상 수준을 파악하여 외상 후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설문을 통해 삼척시 지역 주민을 241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삼척시 지역 주민 중 재난을경험한 사람은 전체 72.2%로 나타났으며, 직접 재난경험보다 간접 재난경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삼척 지역 주민이 가장 많이 경험하는 재난은 ‘산불’로 나타났다. 셋째, 직·간접 재난 경험자 모두 재난피해에 대한 지원을 받은 경험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간접 재난 경험자 모두 외상후 스트레스 수준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재난을 반복적으로 경험한 집단과 심리적 어려움의 지속 기간이 긴 집단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기초자료로 하여, 삼척시 지역 주민의 정신건강을 위한 전반적인 개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interventions in PTSD, by understanding Samcheok-si residents’direct and indirect trauma caused by their natural disaster experience. It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241 residents in Samcheok-si,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residents who have experienced disasters accounted for 72.2% of all residents in Samcheok-si, and they experienced indirect disasters more frequently than direct disasters. Second, they hav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forest fire’. Third, all residents who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experienced disasters have rarely received support for damage caused by them. Fourth, the PTSD levels of the residents who have directly/indirectly experienced disasters were entirely higher. In particular, PTSD levels were higher in one group which have repeatedly experienced disasters and another group which has long experienc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caused.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as basic dat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verall interventions in the mental health of residents in Samcheok-si.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Ⅵ. 연구의 제한점 및 의의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