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873393.jpg
KCI등재 학술저널

LID 적용가능 위치 판단을 위한 중첩지도 분석

기후변화와 빠른 도시화로 인해 도시지역 대부분은 포장되어 빗물을 침투시키거나 저류시킬 수 있는공간이 부족하고 많은 양의 강우로 침수피해가 증가한다. 이로 인한 수재해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해LID 기법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도시유역 내 LID 설치와 정량적인 규모, 시설물 설치를위한 체계적인 절차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유역에서 토지피복도만을 활용한 물순환 분석의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중첩지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첩지도 분석을 바탕으로 LID 시설물 설치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제시하였다. 물순환 적용성 검토를 위해 모델(XP-SWMM) 을 활용하여 경상남도 김해시 지역을 대상으로 첨두홍수량, 유출체적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역특성이나 건물정보를 반영하여 물순환 목표량에 따라 시설물의 정확한 용량을 분배할 수 있는 것으로확인되었다.

Due to climate change and rapid urbanization, most urban areas are paved, and there is insufficient space to infiltrate or store rainwater, and flood damage increases due to heavy rainfall. Research on LID techniques is being conducted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water disasters. A systematic procedure for LID installation, quantitative scale, and facility installation in urban watersheds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overlapping maps were analyzed to improve the limitations of water cycle analysis using only land cover maps in urban watersheds. Based on the overlapping map analysis, the procedure for determining the LID facility installation was presented. The peak flood volume and runoff volume were analyzed in Gimhae, Gyeongsangnam-do, using the model (XP-SWMM).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exact capacity of the facility can be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target amount of water circulation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sin or building information.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LID 시설물 적용 결과

Ⅳ.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