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268042.jpg
KCI등재 학술저널

System Dynamics-GIS 모델 기반의 무더위쉼터 셔틀 운영 확대 효과 분석

서울시를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온도상승이 가속화 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서울의 경우 면적당 무더위쉼터 비율이전국 1위인데도 불구하고 여름철 온열 환자 수는 상승세에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폭염 취약계층의무더위쉼터 이동성 확보를 위해 System Dynamics-GIS 모델을 이용하여 셔틀 운영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모델링에 사용된 공간정보는 서울시 동별 취약계층 인구, 무더위쉼터(수용인원, 위치), DEM 데이터이며 GIS의 공간분석을 통해 모델링에 최적화된 형태로 가공하여 System Dynamics에 입력하였다. 입력된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Stock Flow 모델을 설계하여 취약계층의 대피율에 따라 폭염노출률(Exposure Rate)이 감소하는 추세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시나리오는 셔틀을 운행하지않을 경우(Scenario 0), 운행할 경우(Scenario 1), 운행과 함께 효율적인 셔틀 분배를 수행할 경우(Scenario 2)로 구성하였고, 각각의 취약계층 폭염 노출률은 83.5%, 74%, 59.58%로 나타났다. 셔틀운영에 의한 취약계층의 폭염 노출률은 최대 23.92% 수치만큼 감소하였으며, 해당 결과는 시 단위로셔틀 운영 관련 정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mid the accelerating rise in temperature worldwide, the number of summer heat patients continues to increase despite the nation's No. 1 rank in terms of ratio of heat shelters per area in Seoul.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shuttle operations using the System Dynamics-GIS model to secure the mobility of cooling shelters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in Seoul. To input into the System Dynamics model, spatial information consisting of the vulnerable population for each Dong in Seoul, cooling shelter (capacity, location), and DEM data were analyzed in GIS. By designing a stock-flow model based on the spatial input information, the pattern of decrease of the heat wave exposure rate according to the evacuation rate of the vulnerable was analyzed in time series. The scenarios consisted of not operating a shuttle bus (Scenario 0), operating a shuttle bus (Scenario 1), and efficient shuttle distribution with the operation (Scenario 2). The heat wave exposure rates of each scenario were 83.5%, 74%, and 59.58%. The heat wave exposure rate of the vulnerable group due to shuttle operations has decreased by as much as 23.92%, and this study’s results can serve as primary data when establishing policies related to shuttle operation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