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Search

CLOSE


J. People Plants Environ > Volume 19(4); 2016 > Article
돌봄 교실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원예활동의 효과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horticultural activities based on various techniques on care clas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For this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12 care class students who were 1st ~ 2nd graders at P Elementary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consisted of plant growing, horticultural arts, and flower arrangement, and each activity was applied five times in a repeated pattern.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the children’s mean emotional intelligence was improved significantly from 26.7±6.7 to 30.8±6.9 (P=.007). In particular, empathy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showed a remarkable improvement. Peer competence was also improved by 3.9 points from 47.9±13.7 to 51.8±9.3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255). However, a correlation was not observed between the two factors.

서론

방과 후 가정에서 성인의 부재는 아동의 학습, 정서, 사회성 등의 영역에서 적절한 발달을 저해하는 위험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Lee and Cho, 2011). 실제로 성인의 적절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동은 유해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고 비행에 가담할 가능성 이 많다. 그리고 대인관계나 사회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또 래관계와 사회성에 문제를 보인다. 이러한 환경은 외현적 행동문 제와 심리적인 불안정감을 야기하여 품행장애, 학교 부적응 등 전 반적으로 정서 행동적 문제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을 높여준다고 Rho(2005)와 Min(2004)은 보고하였다.
초등 돌봄 교실은 아동들에게 방과 후에도 학교 내에서 엄마 품 에 있는 것과 같은 환경을 만들어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갖도록 해 주고, 일터에 나간 부모가 돌아오기 전까지 삭막한 사교육 시장에 서 헤매지 않게 해주는 공간이다(MOE, 2010). 초등 돌봄 교실은 고유의 공통교육과정의 개발도 필요하지만 일시적인 체험이 아닌 지속적이고 일관성이 있는 문화, 예술관련 다양한 프로그램도 개발 및 보급이 되어 학습능력 향상과 정서적으로 따뜻하고 편안한 공간 이 되어 주어야 한다(Jeon, 2013).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은 초등 돌봄 교실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 래 유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며(Park, 2014) 특히 원예 치료는 돌봄 교실 아동들의 호기심을 유발시키고 주의집중력을 향 상시키며(Bae, 2015) 식물체험활동은 아동의 정서지능발달에 효 과가 있다(Lee and Chung, 2008). 뿐만 아니라 교실재배활동은 아 동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Shin, 2013) 1인 1화분 가 꾸기는 아동들의 사회성을 길러줄 수 있는 좋은 활동이다(Kim, 2006).
정서지능이 낮은 아동은 또래집단에 잘 수용되지 못한다(Eisenberg et al., 1993). Lee and Moon(2008)은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과 의 연관성을 구명하면서 긍정적 정서를 가진 아동일수록 또래관계 에서 유능한 경향이 있다고 하였다. 즉 정서지능은 아동의 사회적 행동을 이해하는데 유용하지만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을 관련지 어 원예활동의 효과성을 연구한 논문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는 한 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이용하여 원예, 정서지능을 키워드로 검색한 경우에는 통합검색 건수가 87 건이었고 원예, 또래유능성을 키워드로 하여 검색한 경우에는 1건 으로 나왔다. 그러나 원예, 정서지능, 또래유능성을 공동 키워드로 하여 검색한 결과 조회된 연구논문은 하나도 검색되지 않았던 것으 로도 원예활동의 효과를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을 관련지어 연구 한 사례는 없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기법의 원예활동이 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들의 상관관 계에 대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돌봄 교실은 2004년부터 교육부 주관 하에 초등학교에서 운영 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D광역시 P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의 돌봄 교실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은 20명이었지만 결석을 하지 않고 사전사후 평가에 모두 참여한 12 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대상자는 여성 8명, 남성 4명 으로 평균연령은 8.4±0.5세이었다.

2. 연구도구

1) 프로그램 설계

원예작업 활동의 가장 큰 특징은 식물이 가지고 있는 생명력에 있으므로 재배의 기쁨을 알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 고 화훼장식 활동은 화려한 색감과 다양한 소재들로 짧은 시간 안 에 대상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원예공예 활동은 활동 후의 작품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다(Kim et al., 2012). 이러한 프 로그램의 유형은 활동이나 과제선택에 영향을 끼치며 활동은 치료 를 위한 도구이다(Rebecca and Christine, 2006).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다양한 원예활동의 효과를 고려하여 식물재배, 원예공예, 꽃꽂이의 활동으로 5회씩 반복패턴으로 적용 하였다(Table 1). 식물재배활동으로는 다육식물 테라리움, 우드볼 행잉바스켓, 허브심기, 디쉬가든, 관엽식물 화분에 옮겨심기를 하 였다. 원예공예 활동으로는 포푸리, 아트플라워 토피어리, 냅킨아 트 화분만들기, 새장만들기, 압화공예를 하였다. 꽃꽂이 활동으로 는 원형 꽃꽂이, 감사꽃바구니, 수직형 꽃꽂이, 장미부케, 칼라와이 어를 활용한 고정가지를 하였다.
Table 1.
Programs were applied to repetition pattern by horticultural activity and main plants were used in this study.
No. Sortz Program Plant name

1 G Terrarium Succulent
2 H Potpourri Gomphrena giobosa (Dry flower)
3 F Circle flower arrangement Limonium sinuatum
4 G Hanging basket Hoya carnosa
5 H Topiar Chrysanthemum morifolium (Art flower)
6 F Flower basket for thanks Dianthus caryophyllus
Chamaecyparis obtusa
7 G Herb planting Lavandula angustifolia
8 H Napkin art -
9 F Vertical flower arrangement Helianthus annuus
10 G Dish garden Trachelospermum asiaticum
11 H Making up birdcage Hedera helix (Art flower)
12 F Bouquet Rosa hybrida
13 G Transplanting Alocasia amazonica
14 H Pressed flower Hydrangea macrophylla
15 F Flower fixation using color wire Eustoma grandiflorum

z G: Growing plants, H: Horticultural arts, F: Flower arrangement.

2) 프로그램 실행

본 연구는 2015년 3월 27일부터 7월 3일까지 매주 금요일 방과 후 13~16시에 총 15회기의 원예활동을 실행하였다. 매 회기마다 3시간에 걸쳐 실행을 하였는데 20명의 대상자를 10명씩 2조(A와 B)로 나누어 1시간 30분씩 활동을 하였다. 조를 나누어 실행을 한 것은 원만한 수업분위기 조성과 아동의 집중력을 높여 주기 위해서 나누었는데 분류기준은 랜덤방식이었다. 활동장소는 66m 2 면적 의 P초등학교 내에 있는 돌봄 교실에서 하였고 또래관계를 높여주 기 위해서 책상을 한 모둠으로 만들어 둘러 앉아 활동을 하도록 하 였다. 프로그램 진행은 (사)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의 2급 복지원예 사가 하였고 1명의 담당교사와 2명의 실습생이 보조를 하였다.

3) 평가도구

본 연구는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지능 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정서지능검사지(Moon, 1997))를, 또래 유능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또래 유능성 척도(Park and Rhee, 2001)를 사용하였다. 측정은 담당교사, 복지원예사, 보조실습생의 입회하에 자가 측정을 하였다.

정서지능 검사

이 검사는 Mayer and Salovey(1990)의 정서지능모형에 입각 하여 Moon(1997)이 초등학교 저학년용으로 재구성한 검사지로 총22문항으로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조절의 4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단계 척도로 되어 있다. 점수가 높 을수록 정서지능이 높다. Moon(1997)에 의한 신뢰도 Cronbach's α=0.81이고 본 연구의 신뢰도는 0.73이었다.

또래 유능성 척도

이 척도지는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의 3개 하위요인으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별 5단계 평정척도에 의해 평 정하게 되어 있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또래유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Park and Rhee(2001)에 의한 또래유능성의 신뢰도는 Cronbach’s α=0.93이고 본 연구의 신뢰도는 0.82이었다.

3. 자료분석

분석방법은 IBM SPSS Statistics 19 Program을 사용하여 비모 수 검정으로 하였다. Kolmogorov - Smirnov 검증으로 아동의 정 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의 사전 값이 정규분포를 따르는지를 조사하 였고 Wilcoxon 부호 서열검증으로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의 차이 를 살펴보았으며 원예활동 실시 후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의 변화 에 대한 두 요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Spearman 서열상관 분석을 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정서지능의 변화

원예활동 실시 전 연구대상 아동의 정서지능의 측정값은 Kolmogorov- Smirnov의 Z=0.646에 대한 P=0.799로서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볼 수 있었다. 이에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지능 의 변화를 Wilcoxon 부호 순위로 검정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26.7±6.7점에서 실시 후 30.8±6.9점으로 정서지능의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7). 하위요인별 변화를 살펴보면 정서인식은 실시 전 평균 5.8±2.0점에서 실시 후 6.8±2.3점으로(P=0.190) 정서표현은 평균 7.3±2.3점에서 6.4±3.0 점으로(P=0.523)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감정이입은 평균 4.7±2.3 점에서 원예활동 실시 후 평균 6.7±3.0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 고(P=0.045) 감정조절능력도 실시 전 평균 8.9±3.6점에서 실시 후 평균 10.9±2.5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40).
Table 2.
Changes in the subjects’ emotional intelligence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y.
Item Before-HAz (Score) After-HA (Score) P

Emotion perception 5.8±2.0y 6.8±2.3 0.190NS
Emotion expression 7.3±2.3 6.4±3.0 0.523NS
Empathy 4.7±2.3 6.7±3.0 0.045*
Emotion regulation 8.9±3.6 10.9±2.5 0.040*

Total 26.7±6.7 30.8±6.9 0.007**

z Horticultural activity.

y Mean±Standard deviation.

NS Non significant or significant at

* P ≤ 0.05

** P ≤ 0.01 by wilcoxon signed-rank test.

이는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재배활동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 으며(Woo, 2011) 토요 방과 후 원예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발달에 효과적(Han and Yoo, 2014)이라고 한 내용과 일 맥상통한다. 그리고 Park and Huh(2010)도 원예활동에 참여한 아 동들의 정서지능이 대조군 아동들보다 월등히 높았다고 하였다. 그 러나 하위요인에서는 취학 전 아동의 자기인식과 표현능력이 유의 한 차이가 있다고 하였으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와 는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생은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 을 많이 어색해하지만 창의적 사고를 하게 하는 것은 정서를 활용 하는 능력을 높여준다(An, 2009).

2. 또래유능성의 변화

원예활동 실시 전 연구대상 아동의 또래유능성의 측정값은 Kolmogorov-Smirnov의 Z=0.789에 대한 P=0.562로서 정규분 포를 따른다고 볼 수 있었다. 이에 원예활동 실시 전과 후에 돌봄 교실 아동의 또래유능성의 변화를 Wilcoxon 부호 순위로 검정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원예활동 실시 전 평균 47.9±13.7점에서 실시 후 51.8±9.3점으로 또래유능성의 점수가 3.9점 높아졌으나 유의성은 없었다(P=0.255). 하위요인별로 살펴보았을 때에도 사 교성은 14.7±4.5점에서 17.9±3.7점으로(P=0.076), 친사회성은 18.9±6.5점에서 19.5±4.8점으로(P=0.504), 주도성은 14.3±4.7 점에서 14.4±5.8점으로(P=0.304) 원예활동 실시 후 점수는 조금 씩 올라갔지만 모두 유의성은 없었다.
Table 3.
Changes in the subjects’ peer competence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y.
Item Before-HAz (Score) After-HA (Score) P

Sociability 14.7±4.5y 17.9±3.7 0.076NS
Prosociality 18.9±6.5 19.5±4.8 0.504NS
Initiative 14.3±4.7 14.4±5.8 0.304NS

Total 47.9±13.7 51.8±9.3 0.255NS

z Horticultural activity.

y Mean±Standard deviation.

NS Non significant at P ≤ 0.05 by wilcoxon signed-rank test.

초등학생은 모둠별 원예활동을 통해 공동의 문제를 서로 타협하 여 해결함으로써 또래관계를 개선시켜주며(Kim, 2006), 모둠별 허브식물 원예활동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교우관계를 형성하 는데 있어서 의미가 있는 활동(Jung et al., 2009)이라고 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는 없었다. 그러나 친구들과 같은 활동을 하면서 서로 공유를 하는 것으로 표정이 밝아지는 모 습은 볼 수 있었다.

3.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의 상관관계

Lee and Moon(2008)은 긍정적 정서를 가진 아동은 또래관계 가 좋으며 Eisenberg et al.(1993)은 정서지능이 낮은 아동은 또래 집단에 잘 수용되지 못한다고 하였다. 즉 정서지능은 또래 관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원예활동 실시 전후 돌봄 교실 아동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의 차이 값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Table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예활동 실시 후 정서지능은 4.1±4.0점이 높아졌고 또래유능성은 5.8±10.3 점이 높아졌다. 그러나 원예활동에 의한 두 요인의 값에 대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r=0.154, P=0.632).
Table 4.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after the horticultural activity.
Item Mean SDz N r P
Emotional intelligence 4.2 4.0 12 0.135 0.672NS
Peer competence 5.8 10.3 12

z Standard deviation.

NS Non significant by Spearma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본 연구는 다양한 원예활동의 효과를 고려하여 식물재배, 원예 공예, 꽃꽂이의 활동으로 5회씩 반복패턴으로 적용하였다. 연구결 과 정서지능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원예활동 이 더 효과가 있었는지는 분석해보지 못하였다. 앞으로 원예활동별 로 작업 단계를 분석하여 분류를 한 다음에 아동에게 적용을 한다 면 구체적으로 어떤 원예활동이 어느 작업 단계에서 아동의 정서지 능에 효과를 보였는지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적요

본 연구는 다양한 기법의 원예활동이 돌봄교실 아동의 정서지능 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이들의 상관관계에 대해 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D광역시 P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 2학년 돌봄교실 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원예활동은 식물 재배, 원예공예, 꽃꽂이의 활동으로 5회씩 반복패턴으로 적용하였 다. 원예활동 실시 후 정서지능은 평균 26.7±6.7점에서 30.8±6.9 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P=0.007). 특히 감정이입과 감정조 절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또래유능성은 원예활동 실시 후 평균 47.9±13.7점에서 51.8±9.3점으로 점수가 3.9점 높아졌으나 유의 성은 없었다(P=0.255).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정서 지능과 또래유능성의 두 요인간의 상관관계도 없었다. 추후 저학년 은 적은 인원의 모둠 구성을 하되 전체 연구대상 표본 수는 최대한 늘려서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REFERENCES

An, K.H. 2009. The influence of significant others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MS thesis, Seoul Nat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Bae, S.H. 2015. The influences of horticultural therapy is causing curiosity and attention concentration of toddler careful class. MS thesis, Pusan Natl. Univ., Pusan, Korea.

Eisenberg, N. Fabes, R.A. Bernzweig, J. Karbon, M. Ponlin, R. Hanish, L. 1993.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preschoolers ?(tm) social skills and sociometric status. J. Amer. Soc. Child Dev. 64:(5): 1418-1438.
crossref
Han, M.H. Yoo, Y.K. 2014.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y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develop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Saturday after-school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7:(4): 275-279.
crossref
Jeon, I.S. 2013.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the care class in elementary school. MS thesis, Cheongju Natl. Univ. of Education, Cheongju, Korea.

Jung, M.S. Lee, J.H. Jeong, Y.O. 2009. The effects of group horticulture activity of herb plant on the improvement of peer relation and a class cohesion in the lower grades elementary students. J. Kor. Soc. Practical Arts Education 22:(3): 107-124.

Kim, H.K. 2006. Effect of the group horticulture activity on changes in sociality and peer rela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S thesis, Seoul Natl. Univ. of Education, Seoul, Korea.

Kim, M.Y. Kim, G.S. Jae, E.S. Song, M.J. Jung, H.S. 2012. Horticultural occupation therapy theory and practice. Edam Books, Seoul, Korea.

Lee, B.J. Cho, M.R. 2011. The effects of after-school self-care on children ?(tm)s development. J. Kor. Soc. Child Welfare 36:7-33.

Lee, G.O. Chung, N.Y. 2008. Effect of plant experience activity on children ?(tm)s emotional development. J. Kor. Soc. Practical Arts Education 21:(1): 113-128.

Lee, J.H. Moon, H.J. 2008. Effects of children ?(tm)s emotionality, emotion regulation,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 ?(tm)s peer competence. J. Kor. Soc. Child Studies 29:(4): 1-14.

Mayer, J.D. Salovey, P. 1990.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Salovey, P. and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ions (p.14-30). Basic Book, N.Y., USA.

Min, Y.H. 2004. The realationship between responses of KFD (Kinetic Family Drawing) and children’s maladjustment in the school. MS thesis, Choengju Natl. Univ. of Education, Choengju, Korea.

MOE (Ministry of Education) 2010. Press release on Dec.

Moon, Y.L. 1997. Emotional intelligence (EQ) diagnosis examination. Korea Education Science Research, Seoul, Korea.

Park, J.H. Rhee, U.H. 2001. Development of a peer competence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 39:(1): 221-232.

Park, J.S. 2014. The effect of a group therapy program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f elementary childcare class children. MS thesis, Sangmyung Univ., Seoul, Korea.

Park, S.H. Huh, M.R. 2010. Effects of a horticultural program on the preschool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daily stress. Kor. J. Hort. Sci. Technol. 28:(1): 144-149.

Rebecca, L.H. Christine, L.K. 2006. Horticultural therapy methods. The Haworth Press, Inc., N.Y., USA.

Rho, S.H. 2005. The effect of the nature-friendly program on children ?(tm)s emotional intelligence. J. Kor. Soc. Child Studies 26:(1): 347-357.

Shin, G.S. 2013. The effect of the plant growing activities in clas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relationships. Choengju Natl. Univ. of Education, Choengju, Korea.

Woo, K.H. 2011. Effect of instruction using social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MS thesis, Korea Natl. Univ. of Education, Choengju, Korea.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100, Nongsaengmyeong-ro, Iseo-myeon, Wanju_Gun, Jeollabuk-do 55365, Republic of Korea
Tel: +82-63-238-6951    E-mail: jppe@ppe.or.kr                

Copyright © 2024 by The Society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